메인메뉴로 이동 본문으로 이동

lnb영역

수강신청

고객센터

우측 아래의 고객센터 버튼을 클릭해 주시면 1:1로 맞춤형 상담해 드립니다.

평일 09:00 – 18:00
토, 일, 공휴일 휴무

클래스

4차 산업 분야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콘텐츠

컨텐츠 내용

  1. 수강신청
  2. 과정정보
[4회차]블록체인 비즈니스 모델
[4회차]블록체인 비즈니스 모델 과정정보
신청기간 2022.01.03 - 2022.03.11
교육기간 2022.02.07 - 2022.05.09
교육시간 10시간
담당강사 강형구
수강료 무료
과정소개

[수강신청 시 유의사항]

※ 관리자의 수강 승인 후에 수강신청 최종 완료됩니다.

※ 본 과정은 [블록체인 비즈니스 기획] 직무의 필수 과정입니다.

※ 핵심직무별 필수 과정과 선택과정을 확인해 주세요. (☞확인하러 가기)

핵심직무별 필수 과정 1개, 선택 과정 1개 이상을 이수해야 인증평가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.

※ 운영 관련 안내는 강의실 내 공지게시판, 메일, 문자로만 진행됩니다.   회원정보에 실제로 사용 중인 메일주소 및 연락처 정보를 입력해 주세요. 

   공지를 확인하지 않아 발생하는 불이익에 대해 책임지지 않습니다.

성명/생년월일/휴대전화 번호/이메일 미입력 시 본인 확인 불가로 수강 취소됩니다.
   매치업 교육과정 수강 시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 학습자 정보가 등록됩니다.

※ 재직자 및 대학생의 경우 회원정보에 소속기관명을 입력바랍니다.

 

[학습자 지원사항]

※ 운영기간 내 ZOOM 활용 LIVE Q&A 세션 1회 진행

※ 블록체인 도서 증정 이벤트 진행

※ 교육과정 운영 종료 후 성적우수자 대상 시상 진행

※ 구체적인 학습자 이벤트 내용은 수강생 대상 별도 안내

 

[이수 및 인증 활용]

※ 이수기준 : 동영상 진도율 + 퀴즈/과제/토론 합산 70점 이상

교육과정별 이수기준(70점) 충족 시 한양대학교 명의 이수증 발급

직무별 인증평가 합격 시(70점) SK네트웍스+국가평생교육진흥원 공동명의 인증서 발급

 

[교육과정 관련 문의]

※ 한양대학교 교육혁신팀 매치업 담당자(☎02-2220-1403)

※ 문의 가능시간: 평일 10:00~17:00 (12:00~13:00 점심시간, 주말 및 공휴일 휴무)

매치업 블록체인 교육과정 이외의 강좌 문의는 홈페이지 우측 하단의 채널톡 기능을 이용 바랍니다.

 

매치업 교육과정 상세페이지(비즈니스).png

 

 

학습목표
- 블록체인 관련 사업운영의 리스크 및 제도적 이슈를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다.
- 기존 및 신규 사업에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할 수 있다.
수료기준
평가기준 진도 시험 과제 토론 기타
배점 67% 14% 14% 5% 0%
과락기준 50% 0점 0점 0점 0점
※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과락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7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.
강의목차
차시 강의명
1차시 오리엔테이션
[4월 중 진행 예정] LIVE Q&A 세션
2차시 콘텐츠가 제공되지 않는 주차입니다.
[1주차] 가상자산규제와 대응 1
3차시 동기유발 및 학습목표 안내
4차시 1. FATF의 가상자산과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한 이해 / 2. FATF의 국제 기준 준수를 위한 특정금융정보법(특금법) 개정안 / 3. 질문을 통해 보는 Insight
[2주차] 가상자산규제와 대응 2
5차시 동기유발 및 학습목표 안내
6차시 1. 자금세탁방지 시스템과 수취인확인 프로세스 / 2. 질문을 통해 보는 Insight
[3주차] 가상자산 회계처리 (Crypto accounting)
7차시 동기유발 및 학습목표 안내
8차시 1. 가상자산 회계처리 / 2. 회계적 정의 / 3. 시사점
[4주차] 대한민국 외교부 사례
9차시 동기유발 및 학습목표 안내
10차시 1. e-APP of the Republic of Korea / 2. Korea e-APP : Key Statistics / 3. System Structure / 4. Practical Case / 5. Proposal : Blockchain-based Global e-Register System / 6. How to apply Blockchain to a global e-Register System? / 7. Conclusion
[5주차] 블록체인과 펀드레이징: ICO (Initial Coin Offering)
11차시 동기유발 및 학습목표 안내
12차시 1. ICO(Initial Coin Offering) / 2. 블록체인 혁신 평가
[6주차] 자산유동화와 블록체인 (Blockchain securitization tokenization)
13차시 동기유발 및 학습목표 안내
14차시 1. 자산토큰화 정의 / 2. 자산토큰화 사례 및 시사점
[7주차] 인슈어테크와 블록체인 (Insurtech and blockchain)
15차시 동기유발 및 학습목표 안내
16차시 1. 보험과 블록체인 / 2. 인슈어테크 사례
[8주차] 데이터 매니지먼트 (Data Management)
17차시 동기유발 및 학습목표 안내
18차시 1. 블록체인의 기본 개념 / 2. 스마트 컨트랙트 / 3. 블록체인 활용 데이터 관리 및 비즈니스 적용 과정 / 4. 블록체인 적용 사례
[9주차] 블록체인 에너지 (Blockchain Energy)
19차시 동기유발 및 학습목표 안내
20차시 1. 에너지 산업의 현안과 블록체인의 가능성 / 2. 에너지 분야에서 블록체인 활용
[10주차] 공급망 관리(SCM)과 블록체인
21차시 동기유발 및 학습목표 안내
22차시 1. 공급망 관리(SCM) / 2. 공급망 관리를 위한 블록체인 솔루션 / 3. 블록체인을 적용한 공급망 관리의 실제 사례
[11주차] Public Sector
23차시 동기유발 및 학습목표 안내
24차시 1. 공공부문에 적용되는 블록체인의 특성 / 2. 공공부문 적용사례 - 에스토니아 / 3. 공공부문 적용사례 – 영국, 스웨덴
[12주차] 보건의료와 블록체인
25차시 동기유발 및 학습목표 안내
26차시 1. 보건의료와 블록체인 / 2. 블록체인 어플리케이션 / 3. 보건의료 분야 블록체인 스타트업 / 4. 헬스케어 분야 블록체인 스타트업 /
[13주차] 블록체인과 지적재산관리
27차시 동기유발 및 학습목표 안내
28차시 1. 지적재산권(Intellectual Property, IP)의 개념 / 2. 지적재산권 침해사례 / 3. 블록체인이 지적재산권 분쟁을 해결할 수 있을까? / 4. 저작권 관리 블록체인 거래 플랫폼 주요 사례
[14주차] 탈중앙화 금융 (Decentralized Finance)
29차시 동기유발 및 학습목표 안내
30차시 1. DeFi의 정의 / 2. DeFi 서비스 사례 / 3. 개발정보 / 4. DeFi의 특징 / 5. DeFi와 기존 금융 시스템의 비교 / 6. DeFi 발전의 위험 요소